워드프레스 사이트, 빙웹마스터도구 쉽게 등록하기 (구글서치콘솔 계정 연동)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포캐리입니다. 이번에는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빙 웹마스터 도구(Bing Webmaster Tools)에 쉽게 등록하는 방법을 공유드립니다. 구글서치콘솔 계정 연동으로 더욱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사이트맵 제출부터 RSS 등록까지, 검색 노출을 위한 기본 설정이니 꼭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 Bing 웹마스터도구 등록하기 빙웹마스터도구 역시 구글서치콘솔과 같은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등록하는 것을 전제로 보여드리겠습니다.  ▲ 빙웹마스터도구 > 지구본 모양과 함께 사이트 주소가 있는 화살표 모양을 눌러 '+사이트 추가'를 해줍니다. ▲ 구글서치콘솔 '가져오기' 버튼 을 눌러줍니다. ▲ '계속' 을 눌러줍니다. 그 다음으로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화면 이 나오므로 로그인해줍니다. ▲ '계속' 을 눌러줍니다. ▲ 연결하려는 사이트를 선택한 후 '가져오기'를 눌러 줍니다. 가져오기를 누른 후에는 구글서치콘솔계정에서 사이트 하나를 가져왔다는 화면이 나옵니다. '완료'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 빙웹마스터도구 > 사이트맵에서 '사이트맵 제출'을 눌러줍니다. 사이트맵을 눌렀을때 이미 /rss와 /sitemap_index.xml 모두 제출되어 있다면 다시 제출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하지만 제출되어 있지 않다면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제출해 주시면 됩니다. ▲ 연결하려는 도메인 주소 끝에 /rss를 넣어 제출합니다  ▲ 연결하려는 도메인 주소 끝에 /sitemap_index.xml를 넣어 제출합니다. 마무리하며 구글서치콘솔을 먼저 연결하고, 같은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빙웹마스터도구를 등록하시면 수동 입력이나 별도 인증없이 빠르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 워드프레스 만들기부터 색인을 위한 설정 과정 >>클라우드웨이즈 가입하고 워드프레스 만드는 방법 (+ 할인, 가격 및 결제정보 등록) >>호스팅케이알 하위...

워드프레스에 구글서치콘솔 쉽게 연결하는 법 (사이트킷 플러그인 완벽 가이드)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포캐리입니다. 오늘은 워드프레스에 구글서치콘솔을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사이트킷 플러그인을 활용하면, 워드프레스 관리자 화면에서 구글서치콘솔 데이터를 바로 볼 수 있습니디. 내 사이트가 구글 검색에서 어떻게 노출되는지, 어떤 검색어로 방문자가 오는지 등을 알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구글서치콘솔 쉽게 연결하기 사이트킷 플러그인을 활용해 구글서치콘솔을 연결하면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구글 서비스 연동 : 구글서치콘솔, 애널리틱스, 애드센스 등을 워드프레스에 한번에 쉽게 연결. 사이트 성과 확인 : 방문자 수, 검색 키워드, 페이지 조회수 등 사이트 통계를 워드프레스 화면에서 한눈에 확인. 본인이 연결하려는 도메인이 루트도메인이든, 하위도메인이든 방법은 아래와 똑같으니 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 > 플러그인 > 새 플러인 추가를 눌러 '사이트킷'을 검색해 설치해줍니다. (설치를 하신 후, 활성화 버튼까지 반드시 누르셔야 합니다.) ▲ 설정 시작하기를 눌러줍니다.  ▲ 모두 체크 후, '구글에 로그인하기'를 눌러 줍니다. 구글로 로그인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로그인해주시면 됩니다. (모든 계정이 구글 하나로 통일된 계정이면 편리합니다.) ▲ '모두 선택'을 누르고 하단에 '계속' 버튼을 눌러줍니다.  ▲ 소유권 확인 요청에 대한 내용이며, 확인을 눌러줍니다.  ▲ 모두 위와 같은 순서대로 나오니 해당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 연결하려는 도메인의 계정이 필요하므로, '새 계정 설정하기'를 눌러줍니다. ▲ 계정 : 본인이 구분할 수 있는 이름 으로 넣으시면 됩니다. 저는 한글로 사이트 명칭을 넣었습니다. 속성과, 웹 데이터 스트림은 각각 모두 연결하려는 도메인 주소로 똑같이 적어주시면  됩니다. (일반 도메인 경우 : aaa.com / 하위 도메인 경우 : abc.aaa.com) 국가와 시간대를 확인하시고 '계정 만들기'를...

하위도메인에도 애드센스 광고 자동 노출되게 하는 설정법 (워드프레스 전용)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포캐리입니다. 애드센스 승인을 받은 도메인의 하위도메인은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도 바로 광고를 게재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인데요. 이번에는 워드프레스에 하위도메인을 연결했을 때, 광고가 즉시 노출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자세히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워드프레스 하위도메인, 애드센스 광고 나오게 하는 방법 애드센스 광고를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플러그인 하나를 설치해주셔야 합니다.  아마 이 글을 보고 계신 분이라면, 이전에 요스트(Yoast) 플러그인 을 설치해보신 경험이 있으실 텐데요. 그렇다면 이번 설정도 무리 없이 따라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 워드프레스 > 플러그인 > 새 플러그인 추가 > Head & Footer Code를 검색해 설치해줍니다. ('지금 설치'를 누른 후, 활성화 버튼까지 눌러주셔야 합니다.) ▲ 애드센스 > 광고에서 '코드 가져오기'를 눌러줍니다. ▲ 복사하기 버튼을 눌러 애드센스 광고 코드를 가져옵니다. ▲ 워드프레스 > 도구 > Head & Footer Code를 누르고 HEAD Code 부분에 복사한 코드를 붙여넣습니다.  맨 하단에 '변경사항 저장' 버튼 까지 눌러야 반영됩니다.  이로써 하위도메인에 광고가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은 모두 끝입니다.  루트 도메인에(예: infocarry.co.kr) 구글 애드센스의 자동 광고가 설정되어 있다면 하위 도메인도 동일한 자동 광고 설정이 적용됩니다.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글이 적거나 방문자 트래픽이 낮은 경우, 광고 설정을 아무리 많이 나오도록 조정해도 광고 노출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가 광고를 게재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콘텐츠와 사용자 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마무리하며 워드프레스를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들은 어떤 순서로 작업을 해야 할지 정리가 되지 않아 막연한 두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렵게 애드센스 승인을 받았더라도, 승인받은 하위...

초보자를 위한 워드프레스 세팅 가이드 (글쓰기 전, 꼭 해둬야 할 설정들)

이미지
워드프레스로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매번 폰트와 색상을 설정하기 번거로우셨다면,  CSS로 기본 스타일을 미리 지정해 훨씬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원프레스 테마의 썸네일 크기 조정과 깔끔한 정렬, 카테고리 생성 및 관리법까지 한번에 정리했습니다.  1. 워드프레스 본문 글의 폰트와 색상조정 워드프레스로 글을 쓰다 보면, 블록마다 폰트 사이즈나 스타일을 직접 지정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 그런데 매번 글을 쓸 때마다 일일이 설정하다 보면 번거롭고 시간도 오래 걸립니다. ▲ 워드프레스 > 모양 > 사용자 정의를 클릭합니다.  ▲ '추가 CSS'를 클릭합니다. ▲ 이곳에 태그를 직접 써주면 됩니다.  P부분에 해당하는 태그 : 본문 글 크기 를 바꾸는 것은 P입니다. 모든 블록의 텍스트 폰트 크기를 24픽셀로 지정하고, 텍스트 색상을 어두운 회색(#353535)으로 설정한다는 뜻입니다. 폰트 크기를 24픽셀이 아닌 원하는 크기로 해도 상관 없으며, 색상 또한 원하는 컬러로 지정하시면 됩니다. 콜론(:)과 세미콜론(;) 구분을 잘못 넣으시면 반영되지 않을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ul부분에 해당하는 태그 :   글머리 기호 에 쓰이는 글자는 ul이라고 표시해줍니다. 글머리 기호는 강조하여 정리할 때 쓰이는 기호입니다. 원하는 폰트 크기와 색상을 지정하시면 됩니다. 저는 글머리 기호에 해당하는 내용이 본문 글과 같은 사이즈로 보이기 위해서 24픽셀로 수정하였습니다.  h2, h3, h4부분에 해당하는 태그 : 구글seo 최적화를 위해 소제목을 설정할때는 h2, h3, h4 등과 같이 지정합니다. 많게는 h6까지 지정하기도 하는데요, 저는 평소 h3까지만 사용하는 편입니다. h2로 지정하는 소제목에 대해서 폰트 크기와 색상을 지정할 수 있으며, 모두 동일하게 크기와 색상을 지정하고자 한다면 위와 같이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그러나 평소 h3까지만 사용한다면 h4부터 h6까지 모두 삭제...

워드프레스 블로그 세팅 방법 : 위젯 정리, 요스트 플러그인, 원프레스 테마 설치

이미지
워드프레스를 설치했다면, 이제 블로그를 제대로 세팅할 차례입니다. 오늘은 깔끔하고 반응형 블로그 테마인 원프레스(OnePress)를 설치하고, 기본 플러그인을 설정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워드프레스 기본 설정하기 (1) 사이트 제목 수정 ▲ '워드프레스 > 설정' 에서 사이트 제목과 태그라인을 적고, 사이트 아이콘을 업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사이트 제목은 운영하려는 블로그의 사이트 명이며, 태그라인은 사이트 제목 밑에 떠있는 작은 카피로 어떤 블로그인지 알려주는 것이 목적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모두 필수 사항은 아니므로 그냥 두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그러나 수익형 블로그라면 적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시간대 설정 ▲ 워드프레스 > 설정 > 시간대를 '서울'로 설정 합니다. 보통은 서버기준으로 되어있습니다. 자신이 살고있는 곳으로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한국에 살고 있지 않는 사람은 자신이 살고있는 나라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설정 후, 변경사항 저장을 눌러주세요. (3) 기본 글 삭제 ▲ '글' 메뉴에서 기본적으로 써 있는 글을 삭제해 줍니다. 해당 글을 선택한 후, 휴지통으로 이동하고 휴지통 비우기를 눌러 모두 비워 주세요. 이 정도는 별로 용량을 차지하지 않겠지만, 앞으로는 용량 관리를 직접 해주는 습관을 들이셔야 합니다. 2. 기본 플러그인 정리 불필요한 플러그인 비활성화 및 삭제 ▲필요없는 플러그인은 체크하여 '비활성화'하고 '적용' 버튼을 눌러줍니다.  ▲ '비활성화'를 한 후에는, 삭제를 선택한 후 '적용'을 눌러줍니다. 3. 필수 플러그인 설치 (1) Yoast SEO 설치 ▲ '워드프레스 > 플러그인' 메뉴에서 '새 플러그인 추가' 버튼을 눌러줍니다.  ▲ '요스트'라고 적은 후 검색하고, '지금 설치' 버튼을 누른 후, 활성화를 눌러줍니다.  요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