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청소인 게시물 표시

LG 휘센 천장형 에어컨 청소비용과 후기 (+ 스탠드형보다 자주 청소해야 하는 이유)

이미지
작년 여름 에어컨을 종료해도 꺼지지 않은 것처럼 주황색 불이 들어와 알아보니 청소가 필요하다는 알림이었습니다. 현재 사용중인 LG 휘센 천장형 에어컨은 입주할때부터 사용했기 때문에 6년만에 처음으로 업체를 불러 청소를 해봤는데요, 청소 비용은 얼마인지 결과는 어땠는지 공유드립니다.  1. 에어컨 청소업체 선정 시 주의할 점 저는 처음으로 에어컨 청소업체를 사용해보는 것이기 때문에 경험이 전혀 없어 가장 먼저 신뢰할수 있는 업체여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후기를 살펴볼때 LG 브랜드의 천장형 에어컨 청소 경험이 있는지 집중적으로 찾아보았습니다. 브랜드에 따라 구조가 약간씩 차이가 있을것이기 때문에 우리집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에 대해 청소 경험이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카드결제 혹은 현금 영수증을 요구해도 가격이 같은지 확인하 셔야 합니다. 규모가 꽤 있다고 생각해 예약했지만, 오시는 기사님이 개인 사업자이기 때문에 카드결제나 현금영수증 요구시 부가세 별도를 요구하시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예약시에는 이런 부분을 안내받지 못해 굉장히 당황스러웠는데요, 그래서 저는 결국 현금으로 이체했습니다. 2. 천장형 에어컨 청소 비용 에어컨 청소 업체를 알아보면서 가격대를 확인해보니, 저렴한 곳은 8만 원대부터 시작해서 평균적으로는 약 10만 원 정도로 형성 되어 있었습니다. 네이버 핫딜로 가장 저렴하게 나와 있던 업체는 8만 원대였지만, 아쉽게도 저희 지역에는 배정 가능한 기사가 없어 예약이 취소되었습니다. 그 후 네이버에서 다양한 업체들을 비교해보았고, 평균가가 10만 원 정도인 점을 고려해 LG 천장형 에어컨 청소 후기가 있는 업체를 우선적으로 확인한 후 예약을 진행 했습니다. 다만, 천장형 에어컨은 설치 위치에 따라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가격 차이가 있습니다. 방에 설치된 제품보다 거실에 설치된 에어컨은 크기가 더 커서, 1만 원의 추가 비용 이 발생한다고 안내받았습니다. 저희 집은 각 방에 설치된 에어컨은 거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거실...

전기포트 석회질(물때) 제거, 1분만에 해결하는 방법

이미지
전기포트를 사용하다 보면 내부에 하얀색이나 회색빛의 얼룩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얼핏 보면 곰팡이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이는 대부분 석회질과 물때로 인한 현상입니다. 전기포트를 오래 사용하기 위해서는 물때를 제거해 관리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1분만에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공유드립니다. 1. 석회질(물때) 왜 생기는 것일까? 수돗물이나 생수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다양한 미네랄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미네랄 성분은 전기포트로 물을 끓이는 과정에서 물 속에 녹아 있던 이온들이 화학적으로 변형되어 내부에 침전물로 남게 됩니다.  석회질과 물때의 주요 원인 물질 칼슘이온(Ca²⁺) : 물속에 포함된 칼슘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미네랄입니다. 칼슘은 물이 가열되면서 탄산염이나 중탄산염과 결합하여 칼슘 카보네이트(CaCO₃)라는 고체 결정체를 형성합니다. 이 결정체가 전기포트의 바닥과 벽에 붙으면서 석회질이 만들업니다.  마그네슘이온(Mg²⁺) : 마그네슘은 칼슘과 함께 물의 경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미네랄 성분입니다. 마그네슘 이온도 가열 시 화학반응을 일으켜 탄산마그네슘(MgCO₃) 등의 형태로 침전되며 석회질을 형성합니다. 칼슘과 마그네슘은 모두 건강에 중요한 미네랄이지만, 전기포트에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탄산염(CO₃²⁻) : 탄산염은 물 속에서 칼슘과 마그네슘 이온과 반응하여 석회질(칼슘 카보네이트, 탄산마그네슘)을 생성하는 주된 원인 물질입니다. 물 속에서 쉽게 화학반응을 일으켜 고체 상태로 변하기 때문에 석회질 생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중탄산염(HCO₃⁻) : 중탄산염은 탄산염보다 더 일반적으로 물 속에 녹아 있는 형태입니다. 중탄산염은 가열 시 탄산염으로 변화하며 석회질을 형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 물질은 가열 온도와 시간이 늘어날수록 더 많은 침전물을 남깁니다. 석회질이 생기는 이유 물이 가열될 때의 화학반응 : 물이 약 60도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되면, 물 속의 칼슘(Ca²⁺)과 마그네슘(Mg²⁺) 이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