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지하철 역사내 고객안전실 전화번호인 게시물 표시

기후동행카드 단기권 출시! 실물카드 재고 확인하는 법, 외국인과 내국인 실물카드 환불방법

이미지
서울시에서는 2024년 7월, 기존에 30일권만 있었던 기후동행카드를 단기권으로도 출시하였습니다. 1일부터 7일권까지 선택하여 충전 가능하며, 이용구간은 기존과 동일하게 서울지역 내 지하철과 김포골드라인, 서울시 면허 시내버스, 마을버스, 심야버스가 해당됩니다. 외국인과 내국인의 환불 방법 차이를 알려드립니다. 1. 기후동행카드 단기권 출시 (가격,충전방법,이용구간,혜택) 기후동행카드 단기권은 유효기간 동안 서울 시내버스, 지하철, 도시철도 등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정액권 카드입니다.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고 탄소 배출을 줄임과 동시에 외국인 관광객과 서울을 단기간 방문하는 사람들의 교통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서비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충전할 수 있는 가격도 다양하게 출시되었습니다.  1일권 5,000원 / 2일권 8,000원 / 3일권 10,000원 / 5일권 15,000원 / 7일권 20,000원 가장 많이 사용된 권종으로는 3일권>5일권>2일권>7일권>1일권 순이라고 합니다. 30일권과 단기권 카드와의 차이점  - 기존의 기후동행카드는 30일권만 있었으며, 단기권은 5가지 중에서 가격을 선택하여 충전 가능합니다. 30일권은 카드 충전 시 충전일 포함 5일 이내로 사용 개시일을 선택하여 쓸 수 있지만, 단기권은 카드 충전일이 곧 사용개시일이 되기 때문에 미리 충전하지 마시고 딱 필요한 시점부터 충전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기존엔 따릉이를 포함하여 충전할 것인지 미포함 하여 충전할 것인지 선택 가능했으나 단기권은 무조건 따릉이가 미포함입니다. -기존 30일권은 청년 할인이 가능했으나 단기권은 청년 할인이 되지 않습니다. - 30일권은 서울 거주자나 혹은 장기 체류자에게 적합하지만, 단기권은 주로 내국인, 외국인 모두 관광을 목적으로 하는 단기 방문자에게 적합합니다.  실물 카드 구매 후 단기권 충전 방법 및 재충전 - 충전 가능한 곳 : 서울 지역 내 1호선(서울역~청량리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