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을 위한 2024 연말정산 가이드 3편 - 중도 퇴사자와 휴직자를 위한 완벽한 정산 방법

중도 퇴사자의 연말정산은 퇴사 시점까지의 세금을 정산하는 절차입니다. 퇴사 시 소득공제를 위한 서류를 제출할 수 있으며, 재취업 시에는 현 직장에서 연말정산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재취업하지 않은 경우,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환급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1. 중도 퇴사자의 연말정산이란? 회사를 중간에 퇴사하면 해당 연도의 근로소득에 대한 연말정산을 마무리해야 합니다. 중도 퇴사자의 연말정산은 퇴사하는 달의 월급을 지급받을 때, 기본적인 세금 정산을 미리 수행하는 과정 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근로자는 퇴사 시점까지의 소득에 대해 적정한 세금을 납부하거나 환급받게 됩니다. 퇴직 시 제출 서류 근로자가 회사에서 퇴사 시까지 세금을 정확하게 정산하려면 다음과 같은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 근로자 소득‧세액공제 신고서 - 주민등록표 등본 - 소득‧세액공제 증명 서류 (교육비, 의료비 등 공제 가능 항목 증빙) 이 서류들을 제출하면 퇴사 시점까지의 실제 공제 항목을 반영해, 보다 정확한 세금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더 낸 세금이 있으면 환급 을 받고, 덜 낸 세금이 있다면 납부 하게 됩니다. 퇴직시 서류 제출을 하지 않은 경우 실제로는 퇴사할 때 근로자가 모든 증빙 서류를 제출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퇴직하는 회사에서 기본 공제 항목만 반영된 상태로 연말정산이 진행됩니다. 즉, 근로소득공제, 기본공제, 표준 세액공제, 근로소득 세액공제 와 같은 기본 공제 항목만을 바탕으로 정산하게 됩니다. 따라서 퇴사 이후라도 누락된 공제나 추가 공제가 있다면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소득세 신고를 통해 반영 할 수 있습니다. 2. 중도 퇴사 후, 연말정산시 놓치기 쉬운 부분 회사를 퇴사한 이후 연말정산을 진행할 때에는 회사 재직 기간에만 공제받을 수 있는 항목과, 재직 기간과 상관없이 1년 동안의 총 지출 내역이 공제 가능한 항목이 있습니다. 이 부분을 꼼꼼히 확인하여 놓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회사 재직 기간에만 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