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안면마비인 게시물 표시

안면마비 치료 후 스테로이드 부작용, 면역력 약화에 대한 대처법

안면마비 치료를 받으면서 피할 수 없는 것은 고용량의 스테로이드제입니다. 염증을 억제하고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약물이기 때문에 치료하면서 필수적으로 먹어야 하는 약물이지만, 이 역시 양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면역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부작용입니다.  1. 안면마비 치료 처방약, 스테로이드제 저는 안면마비 치료약으로 엠코발캡슐, 소론도정, 케이캡정, 팜시크라정을 복용했습니다. 이 중에서 스테로이드제는 소론도정입니다.  소론도정 : 스테로이드 계열의 약물로, 주로 염증을 줄이거나 면역 억제 작용을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약물의 주요 성분은 프레드니손 (Prednisone)입니다. 프레드니손(Prednisone)은 강력한 스테로이드 항염증제입니다. 염증을 억제하고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로, 여러 자가면역 질환, 염증성 질환, 알레르기 반응, 그리고 특정 종류의 암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엠코발캡슐 :  이 약물은 비타민 B12와 엽산이 포함된 종합비타민제입니다 . 케이캡정 : 주로 위장약으로, 주요 성분은 테고프라잔 (Tegoprazan)입니다. 팜시그라정 : 위장약으로, 주요 성분은 시메티딘 (Cimetidine)입니다. 실제로 복용하면서 소론도정은 초반에 한 번에 먹는 약 개수가 엄청 많았습니다. 대충 세어봤을 때 12-15알 정도 됐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 약의 개수를 똑같은 양으로 유지하면서 먹는 것은 아니고 경과를 보면서 약의 개수가 줄어들기 시작합니다.  2. 양면성을 가진 스테로이드제 처음 방문했을 때 기침감기 치료를 받으면서 의사선생님께 안면마비 치료 약을 먹었었다고 말씀드리니 스테로이드제는 염증을 억제하고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약물이지만, 그 사용에는 면역력 약화라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장기간 사용하거나 고용량을 사용하면 몸의 자연 방어력이 감소할 수 있어, 이로 인해 감기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거나, 감기의 회복이 지연될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안면마비 증상 및 병원 검사 치료 후기

이미지
머리 양쪽이 번갈아가며 살짝 두통이 오고, 혀 한쪽이 반대쪽 혀에 비해 자극에 둔감한 느낌이 들며, 음식을 먹을 때 맛이 살짝 느껴지지 않는 느낌과, 눈 한쪽이 무겁고 잘 감겨지지 않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병원에 방문하여 검사를 받았고 안면마비 진단을 받았습니다.  1. 안면마비 증상 병원 방문 10일 정도 전부터 아침저녁으로 심한 편은 아니었지만 왼쪽, 오른쪽으로 편두통이 찾아왔습니다. 평소 편두통은 종종 있었던 편이기에 대수롭지 않게 여겼는데요, 그로부터 며칠 뒤에 치아가 닿아 있는 면의 혀 한쪽이 맞은편 혀보다 감각이 둔하다는 느낌 이 들며 이상하다고 느꼈습니다. 감각이 없는 쪽으로 음식을 씹으면 미끈하다는 느낌까지 들었는데요,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니 이것은 미각이 잘 느껴지지 않았기 때문이었습니다.    제가 병원을 방문하기 전까지 안면마비 증상으로 겪었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혀 한쪽의 감각이 둔해지면서 미각이 둔해집니다.  물이나 국물류를 먹을 때 한쪽으로 흘러내리려고 합니다. 양쪽 눈을 있는 힘껏 찌푸려질 만큼 감아도 한쪽 눈은 잘 감아지지 않습니다. 마비가 오지 않은 쪽의 눈이 매우 무겁게 뜨고 떠지는 느낌이 있으며, 양쪽 눈이 감는 속도가 다릅니다.  입을 오므릴 때 마음대로 되지 않으며 한쪽이 움직여지지 않습니다. 웃을 때 입이 비대칭으로 되어 있습니다. 입을 힘껏 벌리면 입의 좌우 대칭이 맞지 않고 한쪽으로 치우쳐 있습니다.  입을 오므려 풍선 모양을 만들면 그대로 있지 않고 근육이 움직여지지 않는 쪽으로 바람이 빠져나갑니다. 신경과를 예약하여 방문하였고, 의사 선생님께서 눈을 있는 힘껏 감아보라고 하시며, 입 모양을 지어보게 하시고는 안면마비 진단을 내리셨습니다.  검사를 해야 알겠지만, 스트레스 유무와, 잠은 푹 잘 잤는지 등을 물어보시며, 벨 마비(Bell's palsy)일 것임을 말씀하셨습니다.  최근 저는 극도의 스트레스를 받으며 4-5일간 잠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