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구강청결제 사용법인 게시물 표시

구강청결제 매일 사용해도 되나요?

이미지
양치를 하고 나서 구강청결제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또한 양치 후 시간이 지나서도 중간중간 입 냄새나, 혹은 입속 세균을 없애겠다는 마음으로 구강청결제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매일 사용하면 좋지 않다는 소문이 있었는데요, 오늘 모닝와이드 방송을 보니 사실로 확인되어 내용을 공유드립니다.  1. 구강청결제를 매일 사용해도 될까요? 잇몸 질환과 전신 질환이 연관성이 있다는 논문은 이미 입증된 지 오래됐으며, 수도 없이 많다고 합니다. 뇌졸중, 치매, 고혈압, 심장병 이런 것과 연관성 이 모두 있다고 하는데요, 입안 세균은 치아나 잇몸뿐 아니라 각종 질환의 주범이 된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미생물 종류로 따지면 많게는 1,000종 이상의 미생물들이 있습니다. 체내에 좋은 미생물도 있을뿐더러 혹은 다량으로 존재했을 경우 나쁜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도 존재합니다. 세균이라고 하면 흔히 질병부터 떠올리지만 천차만별입니다. 그중 해로운 균을 박멸하려면 강한 살균력을 가진 구강청결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떠올릴 것입니다. 왠지 칫솔이 미처 안 닿는 곳까지 침투해 구석구석 제거해 줄 것 같은 생각이죠.  하지만 구강청결제  자체가 나쁜 균과 좋은 균을 구별하여 없애주는 것이 아니 라고 합니다. 두 가지 균주 모두 다 사멸하게 되는 것입니다. 유익한 세균들이 줄어들게 되면 잇몸 질환이나 충치를 일으키는 유해한 세균들이 더 번식할 수 있는 그런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입니다. 실제 벨기에에서 구강청결제 사용 여부에 따라 입안 세균의 분포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찰한 결과, 눈에 띄게 많아진 것은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과 스트렙토코커스 안기노서스 의 두 가지 균주 라고 합니다. 이것들은 모두 구강 내에서 일반적으로 치주염을 유발하는 균주 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잇몸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식도에 존재를 하면 식도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구강 내에 많이 존재하면 구강암...